Guest() 님의 방문을 환영합니다!   |   2025. 09. 08  (월)   14:20



5. 대외 경쟁력 있는 복지경영 성과관리

Key Question 5 : 최고의 성과를 이루는 기관, 어떻게 만들 것인가?


구분

내용

비고

교육목적
  1. 복지기관이 직면하고 있는 각종 외부 평가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기관 성과 향상을 위한 내부평가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원칙과 방안을 이해합니다.
 
교육과정
  1. 전략적 성과관리를 위한 절차(프로세스)
  2. 정부평가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
  3. 내부평가 및 성과관리 방안
  4. 코칭 및 지도 등
  • 2시간
  • 3시간
  • 2시간
  • 3시간
  • 기대효과
    1. 당면한 정부 평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공유합니다.
    2. 복지기관이 대내외적 우수기관으로 발전하여 비전을 이루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샘플영상
    교육개요
    교재소개
    교육신청

      교육개요  +

    복지기관 성과관리

    무엇을 지향하는가?

    복지기관은 수익만을 목표로 하는 기관이 아니어서 성과관리에 대한 목적과 개념이 모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목표가 있는 모든 조직은 성과관리가 필요합니다. 


    복지기관의 성과관리는 구체적인 목표치와 성과지표, 경영을 통한 최종 경영목표 등의 달성 여부를 점검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복지기관에 대한

    외부 평가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국가로부터 평가업무를 위임받아 시행하는 기관의 입장과 정책을 이해하고 평가를 기관의 경쟁력 강화에 이용하는 자세를 통해 평가의 순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사고방식은 전혀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마치 평가자는 화성에서, 직원은 금성에서 온 것과 같습니다. 피평가자는 평가자의 사고방식을 취할 때 평가 대응에 있어 모든 실마리가 풀립니다.


    ❝ 외부 평가를 대비하는 요령 ❞



    유연한 Attitude

    평가지표의 의미를 광의적으로 해석하고 우리기관의 해당 실적과 연계하여 대응합니다. 평가지표에 대한 해석과 적용은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많고 해석에 따라 다른 의미로 다가올 수도 있습니다. 

    우리기관의 관련된 상황과 개념을 부가하여 복합적, 입체적으로 지표를 재해석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Best Practice 강조

    복지수요자인 국민이 공감할 수 있고, 평가지표의 방향과 부합되며, 기관의 핵심역량과 연계된 실적이 "Best Pratice"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각 평가지표별 우수실적을 기획하고 성과를 창출하는 데 많은 노력과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우수한 실적은 기획되는 것입니다.
    지적사항 개선

    평가시에 지적받은 사항에 대해서는 다음번 평가를 대비하여 장기/중기/단기적 개선계획을 수립하고 순차적으로 개선이 진행 중임을 강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원인에 대한 진지한 분석이 필요하고 중장기적인 개선 로드맵 및 개선방향을 수립하며 당해연도의 개선 실적을 명시하고 지적사항 개선의 결과 및 성과를 제시하여야 합니다.

      교재소개  +


    * 집필진
    - 이태진(경영학박사/사회복지사)

    - 김일숙(경영학박사)

    - 정병두(사회복지학박사)

    본 교재에서는, 사회복지조직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관리 과정 및 활동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세분하였습니다. 

    전통적 경영모델인 개별적 기능(function) 관점에서 탈피하여 전략적 통합(integration) 관점으로 새롭게 접근하였으며 목적 지향적이고 프로세스 중심적인 모델로 수립되었습니다. 

    복지경영의 이념과 목적에 충실함과 동시에 경영기능 간의 균형과 상호작용, 상승효과(synergy effect)를 창출할 수 있는 입체적인 모델입니다.


    교재의 특징


    복지경영에 대한 모든 부분을 아래와 같이 총 여섯 가지의 모듈로 분류하였습니다. 

    1. 기반관리 : 이념, 사상, 가치관에 대한 정립
    2. 가치관리 : 사명과 목적에 대한 정리
    3. 전략관리 :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과 과제에 대한 정리
    4. 조직관리 : 인적자원에 대한 관리
    5. 효율관리 : 경제적 가치에 대한 창출 방안
    6. 성과관리 : 성과의 지속적인 창출 방안


     

     

    Site MAP
     



    [도로명 주소]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덕평로 224, 양지요양병원 1층 107호
    전화. 010-9038-3577   |   팩스. 050-4446-0387   |   메일. goodmgt_com@daum.net
    Copyright © 한국시니어복지협동조합 2025.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번호. 319-81-01955]

                            

     
    ✔  Web Designed by MIC-MIN e-business Consulting

    ✔  저작권표시